top of page

 

 

On Vulnerability

 

From a post-documentary perspective, I observed urban sceneries and lifestyles and depicted specific forms in a series of paintings to construct an oeuvre that touched upon various urban issues ranging from society to culture. I attempted to aesthetically formalize the vulnerability of individuals in society by taking the self-consciousness, facial expressions, and actions of a person realized in a city and harmonizing or contrasting these with the architectural scenery of cities. Also, I aim to demonstrate how the microscopic narrative of the individual could link to grand narratives to construct common stories. The evidences of this vulnerability are rooted in the ecological and topographical issues of the city — in other words, the issues of urban life.

I lived as an urban nomad in Seoul. I covered the issue of survival that a generation of people faced living in a city undergoing rapid development, and situated figures making incomprehensible, repetitive gestures to my painting’s foreground amid sceneries of settlement-related issues, unplanned development, and poverty.  The figures repeating meaningless actions in barren locations (or underdeveloped areas) allude to individuals who do not belong or serve a function in any part of the society, the existences that refuse to accept the life values defined by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I also painted existences that constantly exploited one’s own self and relentlessly pursued self-development in the dreams of making progress under the terms of neocapitalism. In South Korea, these were the issues pertinent to my generation.

My vulnerability was accentuated even further when I started a new life in London. However, to expand this issue beyond the realm of the individual and into the territories of the common issue, I had to accurately represent the sense of vulnerability displayed in the lives of the minority — the diversity of race and culture — in a painterly language. I wanted to reveal my own existentialism in images that were even more condensed and symbolic, and I contemplated how I could manifest these in my paintings. This process led me to reflect upon my position in the world ceaselessly. As a minority Asian individual, I investigated how a particular society or culture would receive me, and by turning these unfamiliar and familiar experiences into discourses, I was able to meditate upon the relativity of cultures and things that were either common or alien.

By taking the individual's life as my subject matter, I came to understand how an individual's life in a society could assume or express political implications. During this process, my works naturally grew to integrate autobiographical elements.

취약함에 대하여

 

포스트 다큐멘터리적 관점에서 나는 도시의 풍경과 생활을 관찰하며, 그림에 구체적인 형상을 담아 사회와 문화 등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다루는 회화 작업을 했다. 한 도시에 발현되는 인물의 자아, 표정, 행위 등을 도시의 건축적 풍경과 조화시키거나 대비시킴으로써, 사회속 개인의 취약성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또한, 개인의 미시적 서사가 어떻게 거대 서사로 연결되어 공통의 이야기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 한다. 이러한  취약성의 근거는 도시의 생태학적, 지형학적 문제, 즉  도시에서의 삶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서울에서 나는 도시 이주민으로서 살아왔다. 정착의 문제, 난개발, 빈곤한 풍경 속에서 불명확하고 반복적인 제스처를 취하는 인물을 캔버스 전면에 배치하며, 급격히 개발되는 도시에 사는 한 세대가 직면한 생존 문제를 다뤘다. 척박한 공간(저개발 지역)에서 무의미한 행위를 반복하는 인물은 사회 속에서 아무데도 속하지 못하고 기능하지 않는, 자본주의가 규정한 삶의 가치를 거부하는 존재를 은유한다. 반면, 신자본주의 하에서 발전을 희망하며 스스로 끊임없이 착취하고 자가 개발에 몰두하는 존재를 그리기도 했다. 이는 내가 한국에서 마주한 우리 세대의 문제였다.

런던에서 새 삶을 시작하며 나의 취약성은 더욱 도드라졌다. 그런데 이 문제를 개인을 넘어선 공통의 문제로 확장하려면, 이를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 소수자들의 삶에 나타나는 취약성을 회화적 언어로 명징하게 표현해야 했다. 더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로 나의 실존성을 드러내고자 했고, 이를 어떻게 그림에 구현할지 고민했다. 이 과정에서 나는 세계 속에 서 나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성찰하게 되었다. 소수자 아시아인으로서 특정 사회와 문화 안에서 내가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탐구하며, 이 낯설거나 익숙한 경험들을 담론화함으로써, 문화의 상대성, 공통되거나 이질적인 것들에 대해 숙고할 수 있었다.

개인의 삶을 그림의 소재로 삼음으로써, 사회 속의 한 개인의 삶이 어떻게 정치적 함의를 띠고 표현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내 작업은 자연스럽게 자전적 요소를 포함하게 되었다.

  • Instagram
bottom of page